민팽로그

안드로이드 개발하면서 알게 된 것 본문

프로젝트/소리마당(2022 프로보노)

안드로이드 개발하면서 알게 된 것

민팽 2021. 10. 4. 13:44
알게 된 것

1. onCreate() -> onStart -> onResume() 순으로 호출됨 -> 필요에 따라 적절히 사용 가능

2. Thread 실행이 끝나기 전에 다른 작업 수행으로 인한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 sleep을 두거나 join()을 활용하여 실행 순서를 제어할 수 있음

3. 리사이클러뷰와 카드뷰를 사용하여 스크롤 기능을 갖춘 카드 리스트를 만들 수 있음: 리사이클러뷰를 담는 레이아웃,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클래스, 카드의 뷰?를 다룰 수 있는 뷰홀더, 뷰홀더와 리사이클러뷰를 연결하는 어뎁터 등이 필요했음(추상클래스 상속받아 구현 필요)

4. rest api의 method 중 delete는 규칙상? body를 가질 수 없음!

 

기억에 남는 점

오류 발생 시 가장 힘들었던 쪽이 thread였는데, thread를 잘 모르기도 했고 onCreate함수와 onStart함수, onResume함수만 사용해서 해결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했음. 잘 모르고 정확하지 않지만 스레드는 독립적인 프로그램으로 간주되어 동시에 실행되는 느낌을 받았음. 처음엔 sleep으로 스레드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식으로 구현했다가 나중에 join함수를 알게되고 수정함

그 다음 당황했던게 rest api의 delete..! rest api를 대충 알고 있는 상태에서 스프링 개발을 했는데 delete에 @RequestBody 사용이 가능해서 body가 있으면 안되는지 몰랐당.. 아이디 토큰을 파라미터에 넘기면 보안상 안될거같아서 일단 급한대로 post로 바꾸어 사용중..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