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marksense.ai
- idToken
- @Transactional
- google login
- pandas
- oauth
- Loss Function
- C++
- google 로그인
- matplotlib
- 코드업
- STT
- yolo
- react native
- 순환참조
- html
- Spring Boot
- 양방향 매핑
- AWS
- Expo
- google cloud
- skt fellowship 3기
- 졸프
- YOLOv5
- 2021 제9회 문화공공데이터 활용경진대회
- javascript
- JPA
- OG tag
- 커스텀 데이터 학습
- Spring
Archives
- Today
- Total
민팽로그
공모전 참여 후기: 2021 제9회 문화공공데이터 활용경진대회 본문
기획서
공모전 첫 도전이었다. 급하게 준비했기 때문에 결과보다는 경험에 의의를 두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
기획서도 처음 써보았다. 첫 기획서 검토 회의때 멘토님이 굉장히 지적을 많이 하셨다.
요약하자면,
- 주제가 명확히 드러나야 하며 중요한 내용은 강조가 되어야 함.
- 제품 명은 직관적으로 지어야 함. 서비스의 주제가 명확히 드러나도록 작해야 함.
- 제품 서비스 개요는 매우 중요한 부분임. 대상 타겟층과 서비스가 필요한 이유가 뚜렷하게 드러나야 함. 충분한 내용을 담을 수 있을 만큼 길게 써주는게 좋음.
- 제품∙서비스의 목적 및 필요성 등 도입 부분은 줄글로 가독성이 떨어지게 쓰지 않도록 함. 순번을 메기거나 소주제를 정하는 것이 좋음.
이렇다.
확실히 멘토님 말씀을 토대로 수정하니 부족한 기획안도 퀄리티가 훨씬 좋아졌다. 기획서를 수정하고 아이디어를 보충하는 과정도 겪으며 좀 더 기획서 내용이 알차지는 것 같았다. 언젠가 일상의 문제점을 찾아 서비스로 기획하여 내가 봐도 좋은 아이디어라는 생각이 들 수 있었으면 좋겠다!
'프로젝트 > 소리마당(2022 프로보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개발하면서 알게 된 것 (0) | 2021.10.04 |
---|---|
프로보노 중간 보고서 작성 후기 (0) | 2021.08.24 |
2021.08.22 회의 느낀점 (0) | 2021.08.23 |
과제02-Google Cloud : Speech-to-Text API(4) (0) | 2021.08.20 |
과제02-Google Cloud : Speech-to-Text API(3) (0) | 2021.08.2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