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avascript
- AWS
- Spring
- marksense.ai
- oauth
- skt fellowship 3기
- Spring Boot
- google login
- Expo
- matplotlib
- OG tag
- pandas
- YOLOv5
- 양방향 매핑
- STT
- Loss Function
- google 로그인
- C++
- idToken
- @Transactional
- 졸프
- 커스텀 데이터 학습
- 순환참조
- yolo
- 코드업
- html
- 2021 제9회 문화공공데이터 활용경진대회
- JPA
- google cloud
- react native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68)
민팽로그

인증 및 인가 - 인증(Authentication):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행위 - 인가(Authorization): 사용자 권한을 확인하는 행위 즉,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을 통해 로그인하여 본인임을 확인하는 과정이 인증, 로그인 후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인가이다. 인가의 예로 웹 카페같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회원 등급 별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이 다른 것을 들 수 있다. 쿠키와 세션 HTTP는 상태를 저장하지 않아 같은 클라이언트가 요청했는지 알 수 없음 -> 쿠키와 세션은 HTTP에 상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됨. 즉, 쿠키와 세션을 통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별로 인증 및 인가를 할 수 있음 쿠키 - 클라이언트에 저장될 목적으로 생성한 작은 정보를 담은 파일 - 크롬 ..

DI -> 5개의 Controller가 각각 Service1을 사용하고 Service1이 Repository1을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각 Controller는 Service1을 생성하고 각각의 Service1이 다시 Repository1을 생성한다. 이 때 Repository1을 생성하기 위해 id와 password를 알아야 한다면, 아래와 같이 모든 Controller는 Repository를 생성하기 위해 id와 password를 알아야 하는 상황이 된다. 1. Repository public class ProductRepository { private String dbId; private String dbPassword; // 생성자 public ProductRepository(String dbId, ..

servlet은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자바 프로그램으로, JAVA 코드 안에 HTML이 삽입되어 있다.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를 사용하지 않고도 servlet을 통해 웹 에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지만 매우 복잡한 코드를 작성하게 된다. 이런식. 스프링 없이 자바만 사용하여 서버 구현이 가능하다. @WebServlet(urlPatterns = "/api/products/*", loadOnStartup = 1) public class AllInOneServlet extends HttpServlet { // 신규 관심상품 등록 // POST /api/products @Override protected void doPost(HttpServletRequest req..
스타일과 스타일 시트 스타일(style) : HTML 문서에서 글꼴, 색상, 배치 방법 등 겉면의 디자인적 요소들 스타일 시트(style sheet) : 스타일을 관리하기 쉽도록 한 곳에 모아놓은 것 스타일을 사용하면 웹 문서의 내용과 관계없이 디자인만 독립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다양한 기기에 맞춰 유연하게 바뀌는 문서를 만들 수 있음. 스타일 형식 선택자 스타일 속성 속성 값 p { text-align: center } - 내부 스타일 시트: 태그 내부에 태그를 이용하여 스타일을 정의하는 것 - 외부 스타일 시트: 스타일을 별도의 파일로 두어 필요할 때마다 파일에서 가져와서 사용하는 것으로 태그 없이 태그만 사용하여 미리 만들어 놓은 외부 스타일 시트 파일 연결 - 인라인 스타일: 스타일 시트를 사용하..
회원정보 아이디 비밀번호 관련정보 일반 정보 관련정보.. 전화번호 전화번호 010 011 016 018 -- 로그인 이미지 보여주기 number 연습 hidden 연습 search 연습 password 연습 tel 연습 url 연습 radio 연습 1 2 3 checkbox 연습 1 2 3 date 연습 image 연습 수정 불가 010 011 016 018 02 032 054 063 form 태그 -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서버로 보내기 위한 큰 틀을 만드는 데에 사용되는 태그 - input 태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음 - 주요 속성 name 폼 태그 식별을 위한 이름 action 폼 데이터들가 전송될 서버 url method http 전송 방식(get, post) fieldset ..

HTML 웹 페이지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 HTML문서를 서버에 올리면 웹 브라우저가 해당 문서에 맞게 정보를 보여줌. 과거에는 웹 브라우저마다 사용하는 웹 언어가 달라서 웹 페이지가 제대로 표현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지만 현재는 웹 표준을 정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음. HTML이 바로 웹 표준에 해당. 현재 HTML5까지 개발됨. 웹 브라우저 웹 브라우저 중 특히 크롬은 HTML 버전이 업데이트 될 때마다 빠르게 적응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음. 브라우저 명 제조사 특징 크롬 구글 빠른 업데이트를 통해 HTML5에 매우 빠르게 대응하고 있어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는 브라우저 파이어폭스 모질라 개발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브라우저로, 개발 도구와 부가 기능들이 뛰어남 인터넷 익스플로러 마이크로소프트 현재 개발이 ..
https://jeong-pro.tistory.com/205 https://sungminhong.github.io/spring/security/
React Native로 앱을 개발 시 알아야 하는 React 개념 -컴포넌트(Component) - 상태(State,useState) - 속성(Props) - useEffect component : 정해진 엘리먼트들(요소)을 사용하여 만든 화면의 일부분. UI의 요소, 요소를 재사용 가능한 부분으로 조각내서 운영하는 기법(리액트 기반으로 만들어진 페이스북 웹사이트는 운영되는 컴포넌트가 매우 많다고 함) 상태(State) : 컴포넌트에서 데이터를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 -> 사용할 데이터 useState로 상태(state)를 생성하고, setstate로 상태를 변경할 수 있음. 데이터 변경에 따라 각각 다른 화면을 그려줘야 할 때 사용. 속성(Props) : 상위 컴포넌트에서 하위 컴포넌트로..

개발을 하거나 책을 읽다보면, URI와 URL이라는 약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둘 사이의 차이를 몰라 정리를 하게 됐다.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규약으로, 웹 페이지를 찾기위한 주소이다. 인터넷 서비스(웹 서비스 등)를 전제로 하여 텍스트,비디오,음향,이미지 등 인터넷 정보자원에 대한 통일적 식별체계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 표현 방법 scheme: HTTP, HTTPS, FTP, SIP 등 접근 프로토콜 path: path-absolute, path-rootless, path-empty ㅇ 절대(Absolute) URI : 모든 전체 경로를 다 기술한 URI 표현 (길이가 매우 길 수 있음) ㅇ 상대(Relative) ..
엑스포는 리엑트 네이티브 프로젝트 환경을 쉽게 셋팅하고 빌드할 수 있게 해주는 툴이다. 빠르고 쉽게 앱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라고 배웠다. 하지만 구글링을 좀 해본 결과 expo를 사용하면 네이티브 모듈을 사용할 수 없고 빌드 시간이 매우 느리다는 단점(비용을 들인다면 해결이 가능한것 같긴 하지만)이 치명적이라고 한다. 내가 배우는 강의에서는 리엑트 네이티브를 사용하다보면 네이티브 모듈이 필요한데, expo를 사용하면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장점이라고 하긴 했다. 하지만 expo에 모든 기능이 갖추어진 것이 아니므로 어쩔 수 없이 네이티브 모듈이 필요하게 된다면 결국 expo를 eject해야하는 상황이 생기는 것 같다. 일단 이번에 간단하게 react native를 접해보고 다음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