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팽로그

[백준/BOJ] 7579: 앱 본문

PS/백준📖

[백준/BOJ] 7579: 앱

민팽 2022. 3. 13. 03:22

https://www.acmicpc.net/problem/7579

 

7579번: 앱

입력은 3줄로 이루어져 있다. 첫 줄에는 정수 N과 M이 공백문자로 구분되어 주어지며, 둘째 줄과 셋째 줄에는 각각 N개의 정수가 공백문자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둘째 줄의 N개의 정수는 현재 활

www.acmicpc.net

 

 


 

 

문제


우리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여러 가지 앱(App)을 실행하게 된다. 대개의 경우 화면에 보이는 ‘실행 중’인 앱은 하나뿐이지만 보이지 않는 상태로 많은 앱이 '활성화'되어 있다. 앱들이 활성화 되어 있다는 것은 화면에 보이지 않더라도 메인 메모리에 직전의 상태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현재 실행 중이 아니더라도 이렇게 메모리에 남겨두는 이유는 사용자가 이전에 실행하던 앱을 다시 불러올 때에 직전의 상태를 메인 메모리로부터 읽어 들여 실행 준비를 빠르게 마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메모리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한번이라도 실행했던 모든 앱을 활성화된 채로 메인 메모리에 남겨두다 보면 메모리 부족 상태가 오기 쉽다. 새로운 앱을 실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가 부족해지면 스마트폰의 운영체제는 활성화 되어 있는 앱들 중 몇 개를 선택하여 메모리로부터 삭제하는 수밖에 없다. 이러한 과정을 앱의 ‘비활성화’라고 한다.

메모리 부족 상황에서 활성화 되어 있는 앱들을 무작위로 필요한 메모리만큼 비활성화 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다. 비활성화된 앱들을 재실행할 경우 그만큼 시간이 더 필요하기 때문이다. 여러분은 이러한 앱의 비활성화 문제를 스마트하게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한다

현재 N개의 앱, A1, ..., AN이 활성화 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들 앱 Ai는 각각 mi 바이트만큼의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앱 Ai를 비활성화한 후에 다시 실행하고자 할 경우, 추가적으로 들어가는 비용(시간 등)을 수치화 한 것을 ci 라고 하자.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새로운 앱 B를 실행하고자 하여, 추가로 M 바이트의 메모리가 필요하다고 하자. 즉, 현재 활성화 되어 있는 앱 A1, ..., AN 중에서 몇 개를 비활성화 하여 M 바이트 이상의 메모리를 추가로 확보해야 하는 것이다. 여러분은 그 중에서 비활성화 했을 경우의 비용 ci의 합을 최소화하여 필요한 메모리 M 바이트를 확보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입력


입력은 3줄로 이루어져 있다. 첫 줄에는 정수 N과 M이 공백문자로 구분되어 주어지며, 둘째 줄과 셋째 줄에는 각각 N개의 정수가 공백문자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둘째 줄의 N개의 정수는 현재 활성화 되어 있는 앱 A1, ..., AN이 사용 중인 메모리의 바이트 수인 m1, ..., mN을 의미하며, 셋째 줄의 정수는 각 앱을 비활성화 했을 경우의 비용 c1, ..., cN을 의미한다

단, 1 ≤ N ≤ 100, 1 ≤ M ≤ 10,000,000이며, 1 ≤ m1, ..., mN ≤ 10,000,000을 만족한다. 또한, 0 ≤ c1, ..., cN ≤ 100이고, M ≤ m1 + m2 + ... + mN이다.

 

출력


필요한 메모리 M 바이트를 확보하기 위한 앱 비활성화의 최소의 비용을 계산하여 한 줄에 출력해야 한다. 

 

예제 입력


5 60
30 10 20 35 40
3 0 3 5 4

 

예제 출력


6

 

코드 


1) 내림차순 구현: 정답 코드

#include <iostream>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pair<int, int> app[101];
int n, m, sum = 0;
int dp[10001];

int main(void) {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

	cin >> n >> m;
	for (int i = 0; i < n; i++) {
		cin >> app[i].first;
	}
	for (int i = 0; i < n; i++) {
		cin >> app[i].second;
		sum += app[i].second;
	}

	for (int i = 0; i < n; i++) {
		int memory = app[i].first;
		int cost = app[i].second;
		for (int j = sum; j >= cost; j--) {
			dp[j] = max(dp[j], dp[j - cost] + memory);
		}
	}

	int i = 0;
	for (i = 0; i < sum, dp[i] < m; i++);
	cout << i << endl; return 0;
}

 

2) 오름차순 구현: 오답 코드

더보기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pair<int, int> app[101];
int n, m, sum = 0;
int dp[10001];

int main(void) {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

	cin >> n >> m;
	for (int i = 0; i < n; i++) {
		cin >> app[i].first;
	}
	for (int i = 0; i < n; i++) {
		cin >> app[i].second;
		sum += app[i].second;
	}

	for (int i = 0; i < n; i++) {
		int memory = app[i].first;
		int cost = app[i].second;
		for (int j = cost; j <= sum; j++) {
			dp[j] = max(dp[j], dp[j - cost] + memory);
		}
	}

	int i = 0;
	for (i = 0; i < sum, dp[i] < m; i++);
	cout << i << endl; return 0;
}

 

 


 

 

처음에 dp[i]에 대해 i는 메모리를 나타내며 dp는 메모리 용량을 i만큼 확보했을 때 드는 최소 비용이라고 생각하고 문제를 풀으려 했다. 이렇게 하려면 dp 원소들을 가장 큰값으로 초기화 한 후 min으로 비교를 해야 할 것 같다고 느꼈는데 코딩을 하다보니 적절하지 않은 방법이라는게 점점 느껴졌다. 결국 검색을 해보니 내 생각과 반대로 생각해야 하는 문제였다. 즉, dp[i]에 대해 i는 비용을 나타내며 dp는 비용을 i만큼 들여서 확보할 수 있는 최대 메모리 용량으러 표현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바로 전 문제에서 dp를 2차원 배열로 굳이 선언하지 않아도 1차원만으로 충분히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느껴서 1차원 배열을 사용했다. 이 과정에서 또 문제가 생겼는데 for문을 오름차순으로 몇몇 예제에서는 답이 맞지만 또다른 몇 예제에서는 오답이 나오는 것이었다.

https://www.acmicpc.net/board/view/6667

여기에 이유가 나와있는데 잘 이해가 되지 않아 여러번 봐야 할 것 같다. 아무튼 결론은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려면 2차원 배열을 쓰는 것이 좋다고 한다. 

'PS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 BOJ] 1654: 랜선 자르기  (0) 2022.03.31
[백준/BOJ] 1920: 수 찾기  (0) 2022.03.14
[백준 / BOJ] 2293: 동전 1  (0) 2022.03.03
[백준/BOJ] 2629: 양팔저울  (0) 2022.03.02
[백준/BOJ] 10942: 팰린드롬?  (0) 2022.03.0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