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google cloud
- 졸프
- STT
- JPA
- 코드업
- oauth
- yolo
- AWS
- 양방향 매핑
- matplotlib
- google 로그인
- 커스텀 데이터 학습
- @Transactional
- javascript
- 2021 제9회 문화공공데이터 활용경진대회
- 순환참조
- google login
- YOLOv5
- pandas
- OG tag
- C++
- Spring Boot
- react native
- Spring
- html
- Loss Function
- idToken
- marksense.ai
- skt fellowship 3기
- Expo
Archives
- Today
- Total
민팽로그
spring 의존성 주입 3가지 방법 본문
https://coding-start.tistory.com/250
Spring - Field vs Constructor vs Setter Injection 그리고 순환참조(Circular Reference)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필드,생성자,세터 의존주입에 대한 내용이다.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의존주입은 무엇인가? 혹은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의존주입의 방식은 무엇인가? 한번 생각해보고
coding-start.tistory.com
+ bean 사용 이유
https://datajoy.tistory.com/112
왜 스프링은 싱글톤으로 bean을 만드는가?
스프링의 장점 중 하나인 빈을 싱글톤 레지스트리로 관리하는 것이 왜 장점인지에 대해 알아보자. 스프링은 was 시작과 동시에 Ioc컨테이너에 빈을 생성하고 관리한다. 이것을 싱글톤 레스지스트
datajoy.tistory.com
1. 생성자 주입
2. 필드(@Autowired 주입
3. setter 주입
+ 순환참조 DTO로 해결
https://velog.io/@hyunho058/JPA-%EC%88%9C%ED%99%98%EC%B0%B8%EC%A1%B0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부트: 테스트 코드 작성, 간단한 어노테이션 기능 정리, 롬복 (0) | 2022.02.12 |
---|---|
스프링 부트 시작: 인텔리제이&Gradle (0) | 2022.02.11 |
스프링 AOP 개념 간단 이해 (0) | 2021.09.14 |
[OAuth] 웹에서 카카오 소셜 로그인 (0) | 2021.09.13 |
DI(Dependency Injection)와 스프링 IoC 컨테이너 (0) | 2021.09.12 |
Comments